No.6707
추천 0조회 504-13
No.6707추천 0조회 5

왜 우리나라는 디자인을 산업 전체의 성장 동력이 아닌, 일부 대기업의 전유물로 두고 있는 것일까요?

1. 현황 및 문제점

한국의 디자인 역량은 국제 공모전 수상 실적 등을 통해 세계적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그 주체를 살펴보면 대부분 삼성, LG, 현대 등 일부 대기업의 인하우스 디자인팀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 기업의 내부 역량은 기업 내부에서만 활용될 뿐, 산업 전체의 혁신 자원으로 순환되지 않는다.

반면 산업 전반에 디자인 역량을 공급해야 할 디자인전문기업은 영세한 규모에 머물러 있으며, 수익성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국내 디자인전문기업의 평균 매출은 지난 10년간 실질적으로 감소했고, 인건비와 영업이익은 하락 추세다. 대기업에 의한 디자인력 집중, 낮은 디자인 활용률(국내 34.4%, 선진국은 60% 이상), 공공 부문 저가 입찰 구조가 맞물려 디자인산업 생태계가 기형적으로 고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우수한 디자인 역량이 특정 기업 내부에 갇히고,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디자인은 산업 전체의 가치사슬에 작동하는 중간재 산업이자 인프라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정책적 뒷받침은 미미한 수준이다.


2. 정책 제안

  • 1) 디자인 전문기업 육성 중심으로 전략 전환
  • : 인하우스 디자인 강화보다 디자인전문기업 역량 제고를 국가 전략의 중심에 둬야 함.
  • 2) 디자인 수요 확대 기반 조성
  • : 공공조달 기준에 디자인 평가 항목 강화, 디자인 리서치·서비스디자인 등의 수요처 확대 유도.
  • 3) 디자인인력 수급 조절 및 고도화
  • : 과잉 배출된 디자이너의 질적 성장을 위한 교육혁신 및 자격체계 재정비 필요.
  • 4) R&D 재편성과 정책사업 다각화
  • : 현재 유일한 '디자인기업역량강화사업' 외에 디자인 전문기업 대상 전략기획, 글로벌화, 공동 브랜드 육성 등 신규 사업 기획 필요.
  • 5) 산업디자인의 공공성 회복
  • : 디자인을 공공재적 시선에서 다룰 수 있는 정책 기반과 협업 구조 마련.


3. 우수사례 (국내외)

  • IDEO (미국)
  • : 세계 25대 혁신기업에 선정, 세계적 혁신기업들의 컨설팅 수행. 단순 외형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디자인전문기업 모델.
  • 이노디자인 (한국)
  • : MP3 ‘프리즘’ 사례처럼 성과 기반 계약을 통해 수출기업의 세계 1위 실현을 지원.
  • Design Singapore Council (싱가포르)
  • : 국무장관 직속으로 디자인을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와 도시 국가 이미지 개선 전략으로 통합 운영.
댓글 0